돈벌이 주식, 금융

연금저축계좌 간편형 ETF 자산 포트폴리오 실적 (두번째)

돈벌이 2024. 12. 7. 11:22
반응형

연금저축계좌와 IRP계좌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편형 ETF포트폴리오를 제시한 바 있고 이를 실제 운용한 실적을 두번째 공개합니다.

 

연금저축계좌와 IRP계좌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국내 시장에 상장된 ETF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서 이전에 설명하였습니다. 주식, 채권, 대체투자의 자산군에 대해서 연기금 투자기관의 자산배분을 참고해서 자산군별 비중에 따라 6개의 ETF로 구성한 수익우선형 ETF포트폴리오와 자산군별로 ETF를 포함하되 동일비중으로 구성한 간편형 ETF포트폴리오입니다.

[☞연금저축계좌에서 안정적 수익을 달성하는 ETF포트폴리오]

 

 

간편형 ETF 자산포트폴리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소수의 4개 ETF를 동일 비중으로 운영하는 것입니다. 

자산 구분 간편형
주식
(50%)
해외-미국 25% KODEX 미국 S&P 500TR
해외-신흥 25%  KODEX 인도 NIFTY 50
채권
(25%)
국    내 25%  RISE KIS 국고채 30년 Enhanced
대체
(25%)
25% ACE KRX금현물

 

 

연금저축계좌는 아래 그림에서처럼 8월5일에 개설하였다. 계좌 개설 시 50만원을 불입하고 이후 수시로 몇십만원씩 불입하면서 간편 ETF 자산포트폴리오의 4개 ETF를 매입하고 있습니다. 현재 4개월이 지났습니다.

 

현재(2024.12.6.)까지 미국 주식, 인도 주식, 국내 채권, 금현물 ETF를 거의 동일한 비중으로 매입하였습니다. 보유비중을 보면 최소 23.25%, 최대가 26.46%이다. 연금저축계좌 개설 후 ETF 총 매입금액은 약 421만원이고, 평가금액은 446만원으로 수익률은 5.96%입니다. 

 

 

계좌 개설 이후 4개월간의 수익률이 5.96%인데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14.24%입니다. 매우 만족할만한 수준입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동안 국내 KOSPI지수는 계속 떨어지고 있으므로 국내 주식에 투자했으면 상당한 손실을 기록하고 있을 상황인데 이에 반하여 간편 포트폴리오는 수익을 기록하고 있어 고무적입니다. 다음 그림은 KOSPI200과 비교한 그래프인데 계좌개설 시점이후 KOSPI200은 -10%로 하향 추세이나 계좌는 +9%를 기록하고 있어 약 19%의 우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기간 동안 플러스 수익을 기록하고 있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도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좌에서 매수한 4개 ETF별로 평가손익과 수익률을 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 S&P500이 가장 수익률이 높고 국고채30년도 7.5%로 높은 수익률이다. 나머지 인도Nifty50과 금현물도 플러스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목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산들을 묶어서 변화를 최소화하는 목적인데 지금까지는 수익률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플러스를 보이고 있는 좋은 결과이다. 

 

 

"간편 ETF 포트폴리오"에 따라 매수한 이후 각 ETF의 가격 변동과 매수단가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있다. 각 ETF를 보면 S&P500은 매수를 시작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Nifty50은 밴드 내에서 움직이고 있고, 금현물과  KIS국고채30년은 상당기간의 하락구간도 있었다. 인도Nifty50과 KIS국고채30년이 최근 들어서 급등하고 있는데 평균매수단가와의 차이가 커지면서 수익률이 높아졌고 전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크게 기여하였다. 

실제 지난 달 초(11.5.)의 실적을 보면 S&P500을 제외한 3개 ETF는 0.3~0.8%로 매우 작은 값이지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었다. 

 [☞연금저축계좌 간편형 ETF 자산 포트폴리오 운영실적(첫번째)]

 

(* 1. 수익률만 본다면 S&P500에 집중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목적이 개별 자산의 변동성의 영향을 줄이고 방향성이 다를 때 상호 상쇄하는 목적이니 초심을 지켜야겠습니다.

* 2. 그래프를 모아 놓고 보니 갑자기 급등하는 자산의 경우 매입을 늦추는 것이 평균매수단가를 낮출 수 있어 보인다. 

그러나 투자는 timing이 아니라 time이다.^^ 짧은 기간만 놓고 보면 그럴 듯하지만 길게 보면 매수단가를 낮추는 길은 빠른 매수이다. 위 그래프에서도 S&P500이 대표적...) 

 

간편 ETF포트폴리오의 현재까지의 수익률은 매우 만족한 수준이고, 또한 변동성도 작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처럼 기간을 길게 보면 모든 자산 ETF가 우상향하고 있으므로 특정기간의 변동률에 흔들리지 않고 동일비율로 지속적으로 ETF매수를 이어가면 좋은 성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