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9

노원역, 중계역 재건축 아파트 비교

노원역과 중계역 주변의 아파트를 비교하였다."상계중계하계동 일대 택지개발지구 지구단위계획"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노원역 주변단지와 해당 영향이 없는중계역 주변단지를 대상으로 용적율이 나와서 재건축이 가능한 위주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하철역아파트명지구단위계획 수혜 여부 및 특징중계역중계건영2차- 상계,하계 지구단위계획 변경 미대상- 상대적으로 대형평수로 구성노원역상계주공5- 지구단위계획 변경 미대상, 용적률 300%,- 84 ㎡ 996세대로 재건축 추진(임대 156세대를 제외하면 1:1재건축임)상계주공6- 지구단위계획 변경 대상(준주거지 400%로 용적율 상향),- 80 ㎡ 이 전체의 50%정도를 차지하는 주력평형임상계주공3- 지구단위계획 변경 대상(준주거지 400%로 용적율 상향),- 중랑천변..

창동역 주변 재건축아파트 비교분석

창동역 주변에서 재건축이 추진 중인 아파트를 비교분석하였다.창동역은 gtx-c와 동북선의 역사가 신설되는 지역으로 향후 시세 상승 가능성이 높다.그리고 동부간선도로가 지하화가 추진 중인데 호재로 보인다. 창동역 주변에서 재건축이 추진중인 2개 단지를 비교, 분석하였다.창동주공 19단지의 특징은 이미 재건축 안전진단이 완료되어 재건축 진행이 빠르다. 그리고 중랑천변에 위치하고 있어 뷰가 좋겠고 동부간선도로의 지하화가 완성되면 더욱 더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창동주공3단지는 현재 안전진단을 위한 모금이 진행중인 상태이고 위치가 초안산근린공원 쪽이다. 19단지가 재건축 추진이 빠르기 때문인지 매매가 및 GAP도 19단지가 높다.그리고 19단지가 용적률도 약간 낮은 편이고 기존세대수도 3단지에 비해 62%수준으로..

잠실엘스아파트의 매매가 및 전세가 추세와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변동주기

잠실엘스 아파트는 전체 5,678세대로 구성된 대단지아파트이다. 이중 평형은 ‘아실’에서는 25평형, 34평형, 45평형 3개로 구분하고 있고, 네이버 부동산에서는 84㎡, 109A㎡, 109B㎡, 111C㎡, 149㎡로 총 5개로 구분하고 있다. 아실에서는 34평형으로 표시한 것이 네이버부동산에서는 109A㎡, 109B㎡, 111C㎡로 세분되어 있다. 각 평형별 세대수를 보면 84㎡ 1150세대, 109A㎡ 548세대, 109B㎡ 556세대, 111C㎡ 2938세대, 149㎡ 486세대이다. 34평형 중에서도 111C형이 전체 5678세대의 52%를 차지하는 대표평형이고 34평형 전체로는 4042세대이다. 잠실엘스 아파트의 34평형에 대한 매매 및 전세 실거래가 및 거래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아..

나는 오를 땅만 산다 (쉽게 배워 바로 써 먹는 토지투자 첫걸음)

김종율(옥탑방 보보스) / 한국경제신문 / '18.12.12ㅇ 토지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토지의 가치가 상승하는 패턴과 그것을 빨리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ㅇ 세세한 부동산 공법을 외우는 것보다 오를 땅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안목이 중요한데 이 책이 그 안목을 틔워줄 것이다. 1. 뉴스분석, 제대로 하자① 개발사업의 실현조건 = 행정계획 + 사업시행자(돈을 대고 사업을 하는 주체)   - 행정계획은 홍보만 많이 할 뿐 실제 사업은 시행자가 돈을 투자해야 시작된다.② 개발호재, 발표시점이 아닌 실현시점에서 투자 적기를 찾아라   - 발표시점 : 사업지연 요인이 많다   - 실현시점 투자 적기 : 실현 1~2년 전이 가장 많이 상승하므로 실현 3~5년 전이 적기임.③ 투자 뉴스, 누가 ..

대한민국 부동산 부의 역사,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돈과 사람이 몰리는...

부제: 한반도 부의 흐름을 한눈에 살피는 부동산 입지 변천사저자 : 이상우(인베이드투자자문 대표, 서울대 공학 석사),           유성운(중앙일보 기자, 고려대학교 역사학과) 부동산은 면면히 흐르는 인간의 삶이다. 이책을 통해서 부동산에 대한 시각이 근래에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고 시대를 관통하는 인간 삶의 연속이라는 생각을 모두 가질 수 있기를 기원한다.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사람은 어디에서 사는가인간은 어떤 곳에서 살고 싶어했는지, 그리고 어떤 곳이 가치있는 땅이라고 했는지를 살펴보고 오늘날에도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지 답을 찾기를 바란다. 우리나라 부동산 부의 역사라는 주제로 5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별로 2개의 장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각 부는 교육환경, 직주근접, 교통호재, 자연환..

반응형